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27

[TOLIS] 정보보호능력검정(Test of Literacy in Information Security) - 시험과목, 시험방법, 응시수수료, 평가기준, 시행일정

KCA(국가기술자격검정)의 민간자격검정 설명 및 그 중 하나인정보보호능력검정(Test of Literacy in Information Security, TOLIS)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시행구분정기검정 : 연간계획(민간자격 세부 시행일정 공고)에 의해 실시※ 시행종목 : 정보보호위험관리사(ISRM), 정보보호능력검정(TOLIS) 특별검정 : 교육훈련기관으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 다른 검정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해당지방본부와 협의‧시행(최소 응시인원 20인 이상) ※ 시행종목 : 정보보호능력검정(TOLIS)2. 시행절차1) 원서접수 (필기) > 접수방법 - 인터넷접수 : 접수홈페이지(www.cq.or.kr) 접속하여 접수 2) 필기시험 수험생 준비물 > 응시준비 - 수험표,신분증 3) 최종합..

[Certification] 2025.03.31

[ISRM] 정보보호위험관리사(Information Security Risk Manager) - 시험과목, 시험방법, 응시수수료, 평가기준, 시행일정

KCA(국가기술자격검정)의 민간자격검정 설명 및 그 중 하나인 정보보호위험관리사(Information Security Risk Manager, ISRM)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시행구분정기검정 : 연간계획(민간자격 세부 시행일정 공고)에 의해 실시※ 시행종목 : 정보보호위험관리사(ISRM), 정보보호능력검정(TOLIS) 특별검정 : 교육훈련기관으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 다른 검정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해당지방본부와 협의‧시행(최소 응시인원 20인 이상) ※ 시행종목 : 정보보호능력검정(TOLIS)2. 시행절차1) 원서접수 (필기) > 접수방법 - 인터넷접수 : 접수홈페이지(www.cq.or.kr) 접속하여 접수 2) 필기시험 수험생 준비물 > 응시준비 - 수험표,신분증 3) 최종합격자 발표 ..

[Certification] 2025.03.31

[정보통신기사] 디지털 신호 계위, 전송 계위(DSH,Digital Signal Hierachy) - PDH, SDH, OTH, SONET, 동기식 다중화 계위 및 비동기식 다중화 계위 비교

1. 다중화 신호계위 표준 ㅇ 다중화 신호 계위 이란? - 정해진 다중화 단계에 따라, 각 하위 계위신호(Tributary Signal)들이 상위 계위신호로, 체계적으로 다중화되는 단계별 형태   ㅇ 다중화 신호 계위의 표준들 - PDH (유사동기식디지털계위) : ITU-T 권고 G.703 ㅇ 비동기식/유사동기식 디지털계위 (PDH,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 각각의 디지털 다중화장치들이 자체 발진기 클럭을 사용하여, - DS-n급 신호들을 만들어가는 유사동기식 다중화 전송 기반(체계) - SDH (동기식디지털계위) : ITU-T 권고 G.7071.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ㅇ `동기식 다중화` 기술의 `..

[정보통신기사] 광가입자망 (Fiber Subscriber Loop) - FTTO, FTTC, FTTH, FTTP, AON, PON, HFC, HFR

1. 광 가입자망 - 가입자망을 광케이블에 의해 구축하는 것 2. 광가입자망 구분 2-1) 가입자 댁내 접근정도에 따라- FTTO (Fiber To The Office) FTTO : 상업지역의 큰 건물들을 연결하는 가입자선로를 광섬유화하는 것특성 ㅇ 배선구역 단위 : 빌딩 등 ㅇ ONU수 : 통상 1개 ㅇ ONU설치위치 : 빌딩내 구내통신실 ㅇ 전송거리 제약 : 없음구성 동선에 의한 구내포설 - PABX(PBX) - RT - 광케이블 - COT - 교환기 또는 DCS ※ RT(Remote Terminal),COT(Central Office Terminal) : 다중화전송설비  - ..

[정보통신기사] 레지스터(Register) - 정의, 레지스터 종류, 레지스터 길이, 신호 경로 및 전달 방식

1. 레지스터 (register) 레지스터란 워드 단위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다수의 플립플롭을 연결하여 소수의 게이트로 제어하는 소규모 단위의 기억 장치로 데이터나 명령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추가적으로 직렬 혹은 병렬로 입.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데이터 산술 연산, 논리 연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데이터나 명렬을 일시적으로 기억할 소규모 기억장치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인 DRAM보다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2. 레지스터의 종류 - 주요 범용 레지스터 누산기(accumulator), - 연산 레지스터(arithmetic register)- 명령 레지스터(instruction register)-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지표 레지스터(..

[정보통신기사] 논리회로 플립플롭 F/F - D 플립플롭, JK플립플롭, T플립플롭, SR플립플롭, 플립플롭과 래치의 차이

먼저, 래치와 플립플롭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클럭의 유무로 생각할 수 있지만 클럭이 있는 래치도 있기 때문에 정답이라 할 수 없다.  정답은 시점의 차이다.래치는 레벨 트리거에서 동작하고 플립플롭은 에지 트리거에서 동작한다.  플립플롭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또 하나의 플립플롭을 설계하는데도 여러 방법이 있다. 가령, 래치 기반, 클럭형, 마스터-슬레이브, NOR 게이트를 사용하느냐, NAND게이트를 사용하느냐, 등등 하지만 실제로 설계할 때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이번에는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D F/F ( D 플립플롭 )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D 플립플롭을 설명할 것이다. D 플립플롭의 특성표는 위와 같다.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상태로 보면 된다.   위 그림은 D..

[정보통신기사] 논리회로 래치(Latch) - 인버터형 래치, NAND형 SR래치, NOR형 SR래치, RS래치, D래치

1. 래치 (Latch)래치는 인에이블(허용)이 되면 레벨을 감지하여 입력값을 출력으로 계속해서 전송한다. 클럭 입력을 갖지 않은 쌍안정 회로인데 플립플롭과 유사하나 클럭이 없으므로 비동기식 순차 논리회로 소자이다. 조금 바꿔 말해 래치에 클럭이 결합되면 플립플롭이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입력되는 펄스를 유지하고, 기억/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종류로는 인버터형 래치, SR래치, D래치가 있다.   2. 인버터형 래치 입력 신로를 계속 가하지 않아도 디지털 값을 유지한다. 레이싱(racing)이라는 개념만 알고 넘어가도 될 것 같다. 레이싱이란 출력이 일시적으로 충돌하면서 순간적으로 많은 내부 전련 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3. NAND형 SR 래치 SR이란 Set과 Reset을 의미한..

[정보통신기사] 논리회로 게이트 종류 - NOT, AND, OR, XOR, NAND, XNOR, NOR

1. NOT 게이트 말 그대로 반대인 것이다. 180도 바꿔서 출력으로 나온다. 0의 반대는 1, 1의 반대는 0이다.   2. AND 게이트 우리말로는 '그리고'에 해당한다. 둘 다 해당된다는 말이다. 간단히 말해 곱셈이다. "앤곱"으로 외우면 좋다.   3. OR 게이트 우리말로는 '또는"이다. 둘 중 하나만 만족해도 괜찮다는 말이다. 간단히 말해 덧셈이다. "오더"로 외우면 좋다. 주문할게요..4. NAND 게이트 AND의 반대이다 순서대로 간다면 ANDN으로 가야겠지만 말이다. AND연산 결과에 NOT 게이트를 붙인 것이다. 요놈이랑 OR gate를 standard gate라고 부르는데 gate 하나의 조합으로 다른 모든 gate의 동작들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NOR 게이트 NA..

[정보통신기사] 조합회로 종류 - 반가산기, 전가산기, 반감산기, 전감산기,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리플 캐리 가산기, 병렬 가감산기, BCD 가산기, 인코더, 디코더

1. 조합 회로 ( Combinational Circuit ) 게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논리회로로 입력이 주어지면 바로 출력이 나오는 회로다. 이전의 회로 상태가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즉, 메모리 소자를 갖지 않는다. ex) 게이트, 가산기, 멀티플렉서, ALU 등등  2. 반가산기 (HA)두 1비트 입력들의 합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다른 캐리를 고려하지 않고 계산하는 것이다.  S = sum, A, B를 XOR 한 연산과 동일하다C = Carry , A, B를 AND 한 연산과 동일하다    3. 전가산기 (FA)반가산기와 다른 점은 캐리를 고려하여 만든 가산기다. 반가산기 2개와 OR게이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4. 반감산기 (HS) 가산기와 비슷하다. 바로우라는 것이 발생..

[정보통신기사] UTP/STP CATegory 분류, 토큰링, FDDI, SAS, DAS, 집중화기, ATM, MUX, Multiplexing, 다중화기, LANE, IEEE 802표준, 스위치와 브리지 비교

1. 용어정리- Baseband : LAN, 디지털, 단거리, 양방향 통신, 데이터 전송, 단일 채널, TDM(시분할) 방식- Broadband : WAN, 아날로그, 장거리, 단방향 통신, 데이터-음성-영상 전송, 다중 채널, FDM(주파수 분할) 방식- Broadcast : 무작위 대상으로 데이터를 뿌리는 것- Multicast : 지정된 대상에게만 데이터를 뿌리는 것- Unicast : 고정된 한 대상에게만 데이터를 뿌리는 것- Anycast : IPv6에서 Broadcast 대신 사용되는데 범위 내의 아무나 요청을 받으면 응답하는 것  2. UTP/STP 케이블- 이더넷과 토큰링에서 자주 보는 UTP(Unshielded Twist Pair)와 STP(Shielded Twist Pair) 케이블은 ..

[정보통신기사] 필터 구분, 필터 종류 - LPF, BPF, HPF, Butterworth 필터, Chebyshev 필터, 수동 필터, 능동 필터, FIR필터, IIR필터, 디지털 필터와 아날로그 필터 비교

1. 대역별 통과 특성에 따른 구분- LPF (Low Pass Filter, 저역통과필터) : 저역만 통과 - BPF (Band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 : 정해진 통과대역만 통과 - HPF (High Pass Filter, 고역통과필터) : 고역만 통과 - BSF (Band Stop Filter, 대역소거필터) : 정해진 대역만 저지 - All Pass Filter (전역통과필터) : 주파수에 따라 선형적 위상 이동 만을 줌 2. 실현 불가능성에 따른 구분1) 이상 필터 (Ideal Filter) : 수학적으로만 성립, 물리적으로는 실현 불가능 2) 실제 필터 (Practical Filter)  3. 필터 근사에 따른 구분1) Butterworth 필터 : 통과대역이 평평함, 스커트 특성은..

[정보통신기사] 가용성, 신뢰성 - MTBF, MTTR, MTTF 차이 및 기출문제

■ MTTR (Mean Time To Repair)기계설비가 고장을 일으켜, 고장을 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고장 수리시간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을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 ■ MTTF (Mean Time To Failure)기계설비가 고장을 일으키지 않고, 정상작동하는 시간(설비 사용 후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평균적으로 고장을 일으키는데 걸리는 시간(설비가 고장난 후 다음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 평균 고장간격) MTBF = MTTR + MTTF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평균고장간격 - 수리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설비의 고장 발생 시점부터 다음 고장 발생 시점까지의 평균 시간..

[정보통신기사] 아날로그 전송 - 변조와 복조, ASK, FSK, PSK, QAM, AM, FM, PM

A. 디지털 대 아날로그 전송 Digital-to-Analog Modulation (변조):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모뎀 이용ASK (진폭편이변조)FSK (주파수편이변조)PSK (위상편이변조)QAM (구상진폭변조) - 변조와 복조변조 (modulation): 어떤 정보를 아날로그 반송 신호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복조 (demodulation): 전송 후 다시 원래의 정보로 변환하는 것아날로그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해서는 전송 채널에 적합한 변조 방식을 사용해야 함 --> 반송파 (carrier wave) - 모뎀의 기능변조, 복조자동 응답 기능: 연결 요청 신호 받으면 자동 응답자동 호출 기능: 수신자 응답 없을 때 지정 횟수만큼 호출시도자동 속도 조절 기능: 상대방 통신 속도 감지..

[정보통신기사] 디지털 전송 - 회선 부호화, NRZ 부호화, 맨체스터 부호화, 블록 부호화, PCM, 표본화, 계수화, 병렬 전송, 동기식 전송, 비동기식 전송

A. 디지털 정보 -> 디지털 변환Digital-to-Digital Encoding,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회선 부호화 (Line Coding) :항상 필요!!블록 부호화 (Block Coding)뒤섞기 (Scrambling) 1. 회선 부호화 (Line Coding)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작업직류성분 (DC component) 제거 필요자기 동기화 필요직류성분이란?- 주파수 주위에 생기는 주파수로, 저주파 성분은 통과할 수 없다. 디지털 신호의 전압이 한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는데, 일정한 0 전압은 직류성분을 갖지 않는다.자기 동기화?송수신기 간에 비트 간격을 스스로 일치시키는 것. 발신자가 보낸 신호를 제대로 알아들으려면 수신자의 비트 간격은 발신자의 비트..

[정보통신기사] 데이터 신호(아날로그, 디지털) - 푸리에변환, 주기와 주파수, 파장, 비트율, 기저대역 통신, 감쇠, 왜곡, 잡음, 나이퀴스트 전송률, 섀넌 용량

물리층?물리적 매체를 통해 비트 스트림을 전기 혹은 광학 신호로 전달하는 책임->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서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하기 적합한 형태의 전자기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송신 측(부호화): 데이터 -> 신호수신 측(복호화): 신호 -> 데이터 A. 아날로그와 디지털데이터와 신호가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형태임.아날로그 데이터는 연속적이고, 디지털 정보는 이산적이다. 1. 주기신호와 비주기신호 1) 주기신호 (Periodic Signal)측정 가능한 시간 내에 특정 패턴을 갖추고, 그다음 주기에 동일한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주기 신호는 연속적인 반복 패턴(cycle)으로 구성됨.2) 비주기 신호 (Aperiodic/Nonperiodic Signal)시간이 지나는 동안 반복되는 사이클이나 패턴 없이 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