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ion]/[정보통신기사] KCA 국가기술자격검정

[정보통신기사] 데이터 신호(아날로그, 디지털) - 푸리에변환, 주기와 주파수, 파장, 비트율, 기저대역 통신, 감쇠, 왜곡, 잡음, 나이퀴스트 전송률, 섀넌 용량

starterr 2025. 2. 26. 17:20
반응형

물리층?

물리적 매체를 통해 비트 스트림을 전기 혹은 광학 신호로 전달하는 책임
-> 정보가 전송되기 위해서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하기 적합한 형태의 전자기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 송신 측(부호화): 데이터 -> 신호
  • 수신 측(복호화): 신호 -> 데이터

 

A. 아날로그와 디지털

  • 데이터와 신호가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형태임.

아날로그 데이터는 연속적이고, 디지털 정보는 이산적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아날로그와 디지털

 

1. 주기신호와 비주기신호

 

1) 주기신호 (Periodic Signal)
측정 가능한 시간 내에 특정 패턴을 갖추고, 그다음 주기에 동일한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

  • 주기 신호는 연속적인 반복 패턴(cycle)으로 구성됨.
    주기신호와 비주기신호
    주기신호와 비주기신호

2) 비주기 신호 (Aperiodic/Nonperiodic Signal)
시간이 지나는 동안 반복되는 사이클이나 패턴 없이 항상 변화하는 신호

푸리에 변환 (Fourier Transform)
: 어떤 비주기 신호도 무한 개의 주기 신호로 나뉠 수 있음

주기신호와 비주기신호
주기신호와 비주기신호

- 데이터 통신에서는 주로 주기 아날로그 신호 혹은 비주기 디지털 신호를 사용함!

 

 

B. 아날로그 신호 (Analog Signal)

 

1. 단순 신호와 복합 신호

1) 단순 신호: 더 이상 단순한 신호로 나뉠 수 없는 신호
- 진폭, 주기/주파수, 위상 3가지 특성을 표현되는 정현파 (Sine wave)
2) 복합신호 (Composite Signal): 여러 개의 정현파로 나뉠 수 있음.

 

2. 최대 진폭 (Amplitude)

: 전송하는 신호의 에너지에 비례하는 가장 큰 세기의 절댓값

최대 진폭 (Amplitude)
최대 진폭 (Amplitude)

3. 주기(Period)와 주파수(Frequency)

  • 주기(T) : 신호가 한 사이클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시간 (초)
  • 주파수(f): 1초동안 생성되는 신호 사이클의 수 (Hz)
주기와 주파수는 역관계: f = 1/T, T=1/f

 

  • 주기와 주파수 단위
    주기와 주파수 단위
    주기와 주파수 단위

4. 위상 (Phase)

 

시각 0에 대한 파형의 상대적인 위치. 시간축을 따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파형에서 그 이동 양을 각도로 표시한다.

위상 (Phase)
위상 (Phase)

  • a: 진폭 0, 진폭 증가
  • b: 최대 진폭, 진폭 감소
  • c: 진폭 0, 진폭 감소

 

5. 파장 (Wavelength)

 

단순 신호가 한 주기동안 진행할 수 있는 거리

  • 파장은 주파수와 전송매체에 좌우됨.
  • 파장 = 전파속도 * 신호주기 = 전파속도 / 주파수
    파장 (Wavelength)
    파장 (Wavelength)

6.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1) 시간영역도면 (Time-domain Plot)

  • 진폭 대 시간 도표: 시간에 대한 신호 진폭의 변화 보여줌
  • 위상과 주파수는 명확히 측정X
  • 둘 이상의 신호들의 영향을 이해하는데 유용

2) 주파수 영역도면 (Frequency-domain Plot)

  • 합성된 정현파들의 상대적인 최대 진폭과 주파수 간의 관계를 보여줌
  • 위상 표현 X
  • 아날로그 신호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음.

 

 

7. 복합신호

단일 주파수의 정현파는 데이터 통신에 부적합함.
--> 여러 개의 단일 정현파로 만들어진 복합신호를 보내야 한다!

  • 푸리에 분석: 모든 신호는 정현파의 집합으로 분해 가능
    • 주기 복합신호의 경우에는, 주기들이 정수 값을 갖는 순차적인 단순 정현파들로 분해 가능
    • 비주기 신호의 경우, 연속적인 실수값을 갖는 주파수와 진폭으로 된 무한의 정현파들로 분해

 

  • 직각파 (Square Wave)
    직각파 (Square Wave)
    직각파 (Square Wave)

푸리에 분석에 근거하여, 기본 주파수를 기본으로 하여 홀수 조파들을 무한히 합한 구성.
- 더 많은 홀수 조파들을 합칠수록 직각파와 더 비슷해짐.

 

8. 대역폭

 

: 해당 범위의 최고 주파수 - 최저 주파수

  • 전송 매체의 대역폭 (아날로그 대역폭, Hz): 전송 매체가 통과시킬 수 있는 주파수 영역
  • 신호의 대역폭: 주파수 스펙트럼의 폭, 주파수 구성요소들의 범위
  • 디지털 대역폭 (bps): 매체가 통과시킬 수 있는 최대 비트율

 

C.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 무한 대역폭을 갖는 복합신호
  • 전송매체가 넓은 대역폭을 가질수록 전송 시 덜 왜곡됨.
  • 제안 대역폭을 갖는 매체일지라도, 디지털 신호의 전송은 가능 (매체의 최소 대역폭 확인 필요)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준위마다 1비트를 보냄.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디지털 신호 (Digital Signal)

준위마다 2비트 보냄.

 

 

준위의 수가 L이라고 하면, 각 준위에 비트를 보낼 수 있다.
즉, n개의 비트를 어느 한 준위에 실어 보내기 위해 필요한 준위의 수는 개이다.

 

1. 비트 간격과 비트율

대부분 디지털 신호는 비주기적

  • 주기나 주파수의 특성을 표현할 수 없어 비트간격과 비트율 사용.
    • 비트율(bps): 1초동안 전송된 비트의 수
    • 비트간격: 하나의 단일 비트를 전송하는데 드는 시간
      비트 간격과 비트율
      비트 간격과 비트율

2. 디지털 신호의 전송 방법

: 디지털 신호는 주기적이든 비주기적이든, 주파수 0부터 무한대까지 이르는 복합신호이다.

 

(1) 기저대역 (Baseband) 통신

디지털 신호 그대로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지 않고)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

  • 기저대역 전송을 위해서는 저대역 통과 채널(low-pass channel) 필요
    * 저대역 통과 채널: 주파수가 0부터 시작하는 대역폭을 갖는 채널

기저대역 (Baseband) 통신
기저대역 (Baseband) 통신

 

[1] 넓은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채널 (Wide bandwidth low-pass channel)

 

넓은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채널 (Wide bandwidth low-pass channel)
넓은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채널 (Wide bandwidth low-pass channel)

  • 무한대 혹은 매우 넓은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전용 전송매체 사용
  • LAN: 매체 대역폭의 전체를 전용을 사용

 

[2] 제한적인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채널 (Narrow bandwidth low-pass channel)

제한적인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채널 (Narrow bandwidth low-pass channel)
제한적인 대역폭을 갖는 저대역 통과 채널 (Narrow bandwidth low-pass channel)


원래의 디지털 신호화 근사한 모양의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한다.
=>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하는 것은 아님!!

  • 많은 수의 조파를 이용하면 더 근접한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그만큼 요구 대역폭이 증가하게 된다.

 

(2) 광대역 (Broadband) 통신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하여 전송하는 방법

광대역 (Broadband) 통신
광대역 (Broadband) 통신

 

띠대역(bandpass)통과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 가능. -> 띠 대역 채널은 주파수 0부터 시작하지 않음.

광대역 (Broadband) 통신
광대역 (Broadband) 통신


가용 채널이 띠대역 통과 채널이라면 채널에 디지털 신호를 직접 통과시킬 수 없다.

전송하기 전에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 보내야함 !


ex) 디지털 휴대전화

 

D. 전송장애

신호가 매체를 통해 전송할 때 생기는 장애

 

1. 감쇠 (Attenuation)

에너지 손실. 신호가 매체를 통해 이동할 때 매체의 저항을 이겨내기 위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함. 이러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사용.

감쇠 (Attenuation)
감쇠 (Attenuation)

  • 데시벨: 신호가 손실된 정도 혹은 획득한 정도
    - 2개의 다른 점에서 두 신호 혹은 한 신호의 상대적 길이를 측정한다. 신호가 감쇠하면 음수, 증폭하면 양수값을 가진다.
dB = 10 *

 

2. 왜곡 또는 일그러짐 (Distortion)

 

신호의 모양이나 형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함. 신호를 구성하는 각 주파수의 전파 속도 차이로 인해 신호의 강도를 잃어버리는 장애.

왜곡 또는 일그러짐 (Distortion)
왜곡 또는 일그러짐 (Distortion)

3. 잡음 (Noise)

외부 신호로 인해 생기는 전송 장애. 열잡음, 유도된 잡음, 혼선, 충격잡음 등

  • 신호 대 잡음 비 (SNR, Signal-to-Noise Ratio)
SNR = average signal power (신호) / average noise power (잡음)

잡음 (Noise)
잡음 (Noise)

  • 높은 SNR: 신호가 잡음에 의해 덜 망가짐.
  • 낮은 SNR: 잡음으로 인해 신호가 더 망가짐.

 

E. 데이터 전송률의 한계

 

전송률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 채널을 통해 매 초 몇 비트를 얼마나 빨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가?

  • 가용 대역폭
  • 사용 가능한 신호 준위
  • 채널의 품질 (잡음의 정도)

데이터 전송률을 계산할 수 있는 두 가지 수식: 나이퀴스트 비트율, 섀넌 용량

 

1. 나이퀴스트 전송률 (Nyquist Bit-rate)

잡음이 없는 채널의 이론적인 최대 전송률 정의.

전송률 (초당 비트 수, bps) = 2 x 대역폭 (채널 대역폭, Hz) x log2 L (L: 신호 준위 개수)

 

2. 섀넌 용량 (Shannon Capacity)

 

잡음이 있는 채널에서의 최대 전송률 결정 - 채널의 특성 정의

용량 (채널 용량, bps) = 대역폭 (채널 대역폭, Hz) x

 

실제로 어떤 신호 준위와 어떤 대역폭이 필요한지 알기 위해 두 방법 (나이퀴스트, 섀넌) 모두 사용함.
-> 섀넌은 용량의 상한값을 알려주고, 나이퀴스트는 몇 개의 준위가 필요한지 알려준다!

 


 

[Network] SSL VPN - 터널 생성 과정, 패킷 전달 과정, Split tunneling, 사용자 인증 제어

 

[Network] SSL VPN - 터널 생성 과정, 패킷 전달 과정, Split tunneling, 사용자 인증 제어

A. 개요Client to Site 또는 Client to Network 방식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VPNSSL (현재는 TLS)을 사용하여 VPN을 구성한다.  B. SSL(Secure Socket Layer)란? SSL (혹은 TLS) 프로토콜은 TCP/IP 위

infoofit.tistory.com

 

[Fortinet] FortiGate HA failover Alert 설정 - SNMP OID값

 

[Fortinet] FortiGate HA failover Alert 설정 - SNMP OID값

FortiGate 방화벽 내 SNMP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장비의 OID 값을 수집하면 OID 값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받아서 변경된 결과값에 알람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방식으로 많은 고객사에

infoof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