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formation]/[Liunx] 24

[Linux] Bash Shell 스크립트 - 환경변수, 파라미터변수, if문, case문

A. 개요 1. 환경변수  2. 셸스크립의 작성과 실행 위의 셸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정상 실행이 된다. 그런데 왜 셸스크립트 앞에 sh 명령어를 붙이지 않으면 실행이 되지 않을까?    그것은 환경변수를 확인해 보면 알 수 있다. 아래의 경로에 리눅스의 명령어들이 들어있는데 해당 디렉터리에 우리가 실행하는 명령어가 없으면 리눅스는 그 명령어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다. 셸 스크립트 파일을 /usr/local/bin/ 디렉터리에 복사하고 속성을 755로 변경해 주면 모든 사용자가 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행 방법은 chmod를 통해 실행 가능 속성으로 변경한 후 현재 디렉터리를 앞에 붙여주고 사용이 가능하다.   3. 변수변수 = 필요한 값을 계속 변경해 저장한다는..

[Linux] Name Server ( 네임 서버 ) - 도메인 구조, 캐싱 전용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 라운드 로빈 네임 서버

네임 서버 A. 도메인 구조   B. 네임 서버 개요1. 네임 서버 개념URL를 아이피 주소로 바꿔주는 역할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서버다.  2. 네임 서버가 필요한 이유인터넷 시대 초기에는 웹사이트가 수가 적어 IP 주소를 외워서 접속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웹사이트의 수가 증가하여 리눅스, 윈도우 파일에 존재하는 hosts에 URL 주소와 IP 주소를 적어서 사용하였다. 하지만, hosts에 일일이 적을 수 없을 만큼 웹사이트의 수가 증가한 요즘엔 URL 주소와 IP 주소를 매핑해 주는 전문적인 역할이 필요하고 그 역할을 해주는 것이 DNS 서버이다.  3. 네임 서버가 IP 주소를 얻는 방법 - 리눅스 기준1. PC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www.naver.com" 에 접속하려고 입력을 했..

[Linux] Telnet, SSH 서버 구축 및 비교

A. 개요  B. 텔넷 서버  - 서버 설치과정의 큰 틀은 비슷하니 위에 과정은 숙지해 두는 게 좋다.     telnet 파일이 없다면 그냥 vi 편집기로 생성해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위의 과정을 다 했다고 가정하고 접속 시도를 하면 아래와 같이 접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 텔넷은 기본적으로 보안상의 이유 때문에 root 사용자로 접근이 불가능하다.- /etc/securetty 파일을 삭제하면 접근이 가능하다.  C. SSH 서버         [Linux] KVM 특징 및 설치 방법 - 커널 기반 가상 머신 [Linux] KVM 특징 및 설치 방법 - 커널 기반 가상 머신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커널 기반 가상 머신)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전가상..

[Linux] 하드디스크 관리(2) - LVM, 쿼터DB, edquota

A. LVM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한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 나눌 수 있다. [예시] - 5TB, 4TB 하드디스크 2개를 합친 후 3TB 3개로 나눠서 사용할 수 있다.    - 상황부여 : 5GB, 4GB 디스크를 추가 구매하여 서버에 물리적으로 장착까지 완료하였다.    fdisk 명령어를 통해 추가 장착한 /dev/sdb와 /dev/sdc의 파티션을 생성한다.   파티션 생성 후 생성된 파티션에 물리 볼륨을 만든다.   물리볼륨을 하나로 묶어 볼륨그룹을 만든다.     볼륨그룹까지 만들었으면 우리가 추가 장착한 5GB와 4GB 하드디스크는 하나의 9GB로 봐도 무방하다. 이 하드디스크를 다시 논리적으로 3GB씩 3개로 나눠본다.     lvcreate를 통해 파티..

[Linux] 하드디스크 관리(1) - 디스크 RAID, RAID구축, RAID 문제 발생과 조치 방법

A. 개요 VM 웨어의 메인보드에는 SATA 4개와 스카시 4개의 슬롯에 연결되어 있다. SATA는 각각 30개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총 120개(30 * 4)의 SATA 하드디스크 연결이 가능하다. 스카시는 각각 16개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나 7번은 미리 할당되어 있어 사용을 못해 총 60개 (15 * 4)의 스카시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연결된 하드디스크를 장치라고 부른다. 따라서 모든 하드디스크는 /dev 디렉터리의 하위에 장치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 SCSI 0:0 = /dev/sda SCSI 0:1 = /dev/sdb SCSI 0:2 = /dev/sdc파티션을 나누면 장치 이름뒤에 숫자가 붙는다. 통짜로 하나를 다 쓴다고 하여도 파티션은 무조건 나눠야 한다.[..

[Linux] RAID 명령어 기본 설정 - 구성 방법, 복구 방법

A. 리눅스 RAID 구성 (CentOS 8 기준) 1. fdisk 를 통해 파티션 생성 n, p, Enter, Enter, Enter 2. 파티션 타입 변경 옵션 t -> fd(RAID 설정을 위한 코드 입력) -> w로 값 저장 3. RAID 구성할 디스크의 설정이 끝났으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 mdadm --create 생성이름 --level= RAID구성 --raid-device=장치 수 장치 1 장치 2 4. mdadm --detail RAID장치이름 -> 명령어를 통해 자세한 정보 확인 5. mdadm --detail --scan -> 장치확인  B. 리눅스 RAID 복구 (CentOS 8 기준) 1. mdadm --stop RAID장치이름 ==> RAID0, RAID1 은 재생성 2. mda..

[Linux] nmcil 명령어 사용법 - 네트워크 설정

nmcil 명령어 - 네트워크 설정 NetworkManager: 네트워크를 제어, 설정하는 데몬, nmcli(명령어 기반), nm-connection-editor(GUI 기반)로 설정가능  1. nmcli gen : 전체적인 네트워크 상태확인 2. nmcli net : 네트워크 활성화 / 비활성화 설정 및 상태 출력 [명령어]nmcli net off: 네트워크 비활성화nmcli net on: 네트워크 활성화nmcli net con: 네트워크 상태 확인 - full: 네트워크에 연결, 인터넷 사용가능 - limited: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나, 인터넷 불가 - none: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 - unknown: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불가 3. nmcli con: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nm..

[Linux] Rocky8.6 Docker 설치 방법

A. Rocky8.6에 Docker 설치하는 방법 Docker는 VMware와 동일하게 가상화 환경을 지원하지만 VMware와는 다르게 독립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Docker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VMware(가상머신) 보다 가볍고 빠르며, 리소스 사용률이 높아 효율적입니다. 1. Docker 설치 1) yum-utils 패키지 설치(yum-config-manager Utilities 제공)[root@localhost ~]# sudo yum install -y yum-utilsRocky Linux 8 - AppStreamRocky Linux 8 - BaseOSRocky Linux 8 - ExtrasDependencies ..

[Linux] KVM 특징 및 설치 방법 - 커널 기반 가상 머신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 커널 기반 가상 머신)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전가상화(full virtualization) 방식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하이퍼바이저전가상화(full virtualization): 물리적인 하드웨어 전체를 Hypervisor에서 가상화시켜 가상머신(GuestOS)에 제공하는 환경이다.KVM을 통해 Linux를 하이퍼바이저로 전환하여 호스트 머신이 게스트 또는 VM(가상머신) 등 독립된 가상 환경 여러 개를 실행할 수 있다.KVM은 레드헷 계열 리눅스, centos, fedora 기반 리눅스 등에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리눅스에서 제공되는 것은 모두 KVM에도 제공된다.SELinux(Security-Enhanced Linux)와 sVirt(Secure V..

[Linux] NFS 개념, 구조, 동작원리 -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프로토콜

NFS란 무엇인가? NFS개념NFS는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로컬에 저장된 것처럼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프로토콜인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이다. Sun Microsystems 사람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유닉스 및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 공유를 위해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되었다.NFS의 기본 개념은 서버가 네트워크상의 클라이언트에게 하나 이상의 디렉터리를 공유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클라이언트는 공유된 디렉토리를 자체 시스템에 마운트하고 로컬인 것처럼 해당 디렉터리 내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따라서 여러 사용자가 시스템 간에 파일을 물리적으로 전송하지 않고도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에 접근하고 공유할 수 있다.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 보면 NF..

[Linux] htpasswd 사용법 - 아파치 사용자 인증 파일 생성 및 관리

htpasswd아파치 사용자 인증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해주는 명령이다.사용법htpasswd [option] 계정파일 사용자명주요 옵션옵션설명-c사용자 계정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계정 생성할 때 한 번은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사용 예① test이라는 계정을 생성하고, 관련 정보 파일은 /usr/local/apache/conf/password에 생성한다.htpasswd -c /usr/local/apache/conf/password test② test이라는 계정을 생성한다.htpasswd /usr/local/apache/conf/password test htpasswd를 통해 웹페이지에 아이디, 비밀번호 설정하기1. httpd 설정 파일 수정htpasswd를 걸고 싶은 위치의 설정으로 해당 내용..

[Linux] RPM 개념 및 사용법 - 레드햇 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

RPM (RedHat Package Manager)RPM이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패키지) 설치 관리 도구입니다. 현재는 RPM Package Manager의 재구적 약자로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진영 특유의 유머가 느껴지는 약자로 GNU의 GNU is Not Unix 와 같은 원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RPM 등장 배경초기의 리눅스에서는 모든 패키지를 tar와 gzip으로 묶인 소스 파일을 가지고 직접 컴파일 한 후에 수동으로 설치해야 했습니다. 이때 만약 A라는 패키지(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에 B라는 패키지가 사용되었다면 B패키지를 먼저 수동으로 설치 후 A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해 주어야 했습니다. 만약 하나의 패..

[Linux] rsyslog 개념 및 사용법 - 로그 수집, 분석, 모니터링

개 요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며, 로그를 수집하고 확인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로그를 통해 시스템 문제를 검토하고 모니터링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장치나 애플리케이션 / 데몬 / 네트워크나 커널 등의 여러 로그가 서버에서 생성되고 있습니다. 이런 로그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관리, 저장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Rsyslog: Rocket Fast System for Log processingrsyslog는 서버 내에 생성되는 다양한 로그를 로그파일이나 콘솔, 또는 외부 서버로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로깅 프로그램이며, CentOS 7 또는 RHEL 7의 기본 로깅 서비스이기도 합니다.https://www.rsyslog.com/doc/mas..

[Liunx] Crontab 명령어사용법 - 정기적으로 스케줄러 실행하기

크론탭이란?특정 시간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하며, 윈도우 스케줄러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매일 혹은 정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예약작업이 있다.리눅스에서는 이런 일을 해 주는 것이 cron이다.cron은 간단한 텍스트 파일에 할 일들을 기록하는데, 관리자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기록할 곳이 달라진다.관리자 권한이 있다면 /etc/crontab 파일에 기록한다.이 파일에 기록하면 한 눈에 예약 작업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명령을 실행할 사용자도 명시할 수 있다. 관리자 권한이 없다면 crontab -e 명령어를 실행해서 예약 파일을 편집한다./etc/crontab 파일을 편집할 때와 달리 실행할 주체를 명시하는 부분이 없다. root 권한 있는 경우 - /etc/crontab 편집root 권..

[Linux] iptables 명령어 사용법 - 리눅스 상에서 방화벽 설정하기

1. iptables ?iptables는 리눅스상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도구로서 커널 2.4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던 ipchains를 대신하는 방화벽 도구이다. iptables는 커널상에서의 netfilter 패킷필터링 기능을 사용자 공간에서 제어하는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패킷 필터링이란 지나가는 패킷의 해더를 보고 그 전체 패킷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패킷은 해더와 데이터를 가진다. 해더에 필터링할 정보인 출발지 IP:PORT, 도착지 IP:PORT, checksum, 프로토콜 옵션 등을 가지며 데이터는 각 각의 전송 데이터가 들어간다.특정 조건을 가지고 있는 패킷에 대해 허용(ACCEPT)과 차단(DROP)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특정 조건 등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패킷 필터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