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tification]/[정보통신기사] KCA 국가기술자격검정

[정보통신기사] 논리회로 플립플롭 F/F - D 플립플롭, JK플립플롭, T플립플롭, SR플립플롭, 플립플롭과 래치의 차이

starterr 2025. 3. 15. 10:43
반응형

 

먼저, 래치와 플립플롭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클럭의 유무로 생각할 수 있지만 클럭이 있는 래치도 있기 때문에 정답이라 할 수 없다.

 

정답은 시점의 차이다.

래치는 레벨 트리거에서 동작하고 플립플롭은 에지 트리거에서 동작한다.

 

 

플립플롭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또 하나의 플립플롭을 설계하는데도 여러 방법이 있다. 가령, 래치 기반, 클럭형, 마스터-슬레이브, NOR 게이트를 사용하느냐, NAND게이트를 사용하느냐, 등등 하지만 실제로 설계할 때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이번에는 기본적인 특성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D F/F ( D 플립플롭 )

D F/F ( D 플립플롭 )
D F/F ( D 플립플롭 )
D F/F ( D 플립플롭 )
D F/F ( D 플립플롭 )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D 플립플롭을 설명할 것이다. D 플립플롭의 특성표는 위와 같다. 입력과 출력이 동일한 상태로 보면 된다.

D F/F ( D 플립플롭 )
D F/F ( D 플립플롭 )

 

 

위 그림은 D 플립플롭으로 D 래치 2개를 이어 붙인 것이다. (2개 래치 = 플립플롭) 앞단에 있는 D래치를 마스터, 뒷단에 있는 D래치를 슬레이브라고 한다.

 

천천히 보자,

IN에 1을 입력했다고 해보자

 

1) CK이 0일 때

- 마스터 부분에서의 출력은 1 그대로 나갈 것이다.

- 슬레이브 부분에서는 입력이 들어오나, CK가 0이라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2) CK가 1로 올라가는 순간

- 마스터 부분에서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 슬레이브 부분에서는 들어오고 있던 입력이 출력으로 나갈 것이다

 

본인이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보자

 

 

D F/F ( D 플립플롭 )
D F/F ( D 플립플롭 )

 

A는 CK가 상승 에지일 때는 그전을 유지하다가, 하강 에지일 때 in을 그대로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OUT은 CK가 상승 에지일 때는 A값을 출력하고 하강 에지일 때는 전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렇게 때문에 플립플롭이 에지에서 반응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D F/F의 특징인 상승 에지에 따라 입력값을 그대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2. SR F/F ( SR플립플롭 )

SR F/F ( SR플립플롭 )
SR F/F ( SR플립플롭 )

 

SR F/F ( SR플립플롭 )
SR F/F ( SR플립플롭 )

 

SR F/F은 간단하다. SR 래치에 AND 게이트를 단것이다. 근데 입력이 11 일 때는 사용을 못하는데 이것을 보안하기 위해 나온 것이 JK F/F이다.

 

 

3. JK F/F ( JK플립플롭 )

JK F/F ( JK플립플롭 )
JK F/F ( JK플립플롭 )

 

JK F/F ( JK플립플롭 )
JK F/F ( JK플립플롭 )

 

D F/F과 함께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 J는 S에 대응하고 K는 R에 대응한다. SR에서 사용하지 못했던 11을 토글링함으로 대체한다.

 

4. T F/F ( T플립플롭 )

T F/F ( T플립플롭 )
T F/F ( T플립플롭 )

 

T F/F ( T플립플롭 )
T F/F ( T플립플롭 )

 

JK F/F 에서 JK자리에 하나의 입력을 집어넣는 것이다.

T가 0일 때는 이전의 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1이 되면 토글. 즉, 값을 뒤집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사] 필터 구분, 필터 종류 - LPF, BPF, HPF, Butterworth 필터, Chebyshev 필터, 수동 필터, 능동 필터, FIR필터, IIR필터, 디지털 필터와 아날로그 필터 비교

 

[정보통신기사] 필터 구분, 필터 종류 - LPF, BPF, HPF, Butterworth 필터, Chebyshev 필터, 수동 필터, 능동

1. 대역별 통과 특성에 따른 구분- LPF (Low Pass Filter, 저역통과필터) : 저역만 통과 - BPF (Band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 : 정해진 통과대역만 통과 - HPF (High Pass Filter, 고역통과필터) : 고역만 통과 - BSF

infoofit.tistory.com

 

[정보통신기사] UTP/STP CATegory 분류, 토큰링, FDDI, SAS, DAS, 집중화기, ATM, MUX, Multiplexing, 다중화기, LANE, IEEE 802표준, 스위치와 브리지 비교

 

[정보통신기사] UTP/STP CATegory 분류, 토큰링, FDDI, SAS, DAS, 집중화기, ATM, MUX, Multiplexing, 다중화기, LAN

1. 용어정리- Baseband : LAN, 디지털, 단거리, 양방향 통신, 데이터 전송, 단일 채널, TDM(시분할) 방식- Broadband : WAN, 아날로그, 장거리, 단방향 통신, 데이터-음성-영상 전송, 다중 채널, FDM(주파수 분할

infoof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