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중화 신호계위 표준
ㅇ 다중화 신호 계위 이란?
- 정해진 다중화 단계에 따라, 각 하위 계위신호(Tributary Signal)들이 상위 계위신호로, 체계적으로 다중화되는 단계별 형태
ㅇ 다중화 신호 계위의 표준들
- PDH (유사동기식디지털계위) : ITU-T 권고 G.703
ㅇ 비동기식/유사동기식 디지털계위 (PDH,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 각각의 디지털 다중화장치들이 자체 발진기 클럭을 사용하여,
- DS-n급 신호들을 만들어가는 유사동기식 다중화 전송 기반(체계)
- SDH (동기식디지털계위) : ITU-T 권고 G.707
1. SDH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ㅇ `동기식 다중화` 기술의 `북미 표준인 SONET`을 기초로하여,
- 이를 확장 개발한 동기식 디지털 다중화 신호계위에 관한 `ITU 국제 표준`
ㅇ 기존 북미 표준인 SONET을 기초로 하여, 유럽에서 개발되어 ITU에서 1988년 채택
- SONET 구조로는, 유럽의 비동기식 계위신호인 DS-4(139.264Mbps)를 수용할 수 없음
- 따라서, 동기식 디지털 기본 계위신호 STM-1 을 기본으로 권고 ☞ STM 참조
. 9행x90열 SONET 구조를 3배로 확대한 9행x270열 정방형 프레임 구조
. 프레임의 반복주기는 동일하게 125 ㎲
. 전송속도가 155.520Mbps (8000 초-1 x 9 행 x 270 열 x 8 비트)
2. 동기식 디지털 계위 기술(SDH)이 지향하는 바
ㅇ 기존 PDH를 효과적으로 수용하며, 기술발전
ㅇ ATM 셀 등을 전달하는 전송체계 기반을 제공
3. SDH 기술상의 특징
ㅇ 자체 복구(Self-Healing) 기능
- 50ms 내에서 자체 복구(Self-Healing) 기능의 제공 (SHR)
ㅇ SDH 프레임내에 충분한 오버헤드 확보
- 신호 및 장치의 감시 및 유지보수 용이
- SDH 유지보수 경보 신호 例)
. AIS (Alarm Indication Signal)
. RDI (Remote Defect Indication)
. RFI (Remote Failure Indication)
ㅇ 토폴로지 구성 가능방식
- 점대점 방식 (선형망), Ring 형 (환형망)
ㅇ 주요 표준
- ITU-T G.707, G.708, G.709 등
ㅇ SDH는 주로 광전송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고 높은 속도의 신호를 대상으로 함
- E1 이나 D1급 PDH 계열 신호들 뿐만 아니라, ATM 셀 신호 등도 가능
- OTH (광수송계위) : ITU-T 권고 G.709
1. 광 수송 계층 (OTH, Optical Transport Hierarchy)의 표준
※ 관련 표준
- G.709 (Interfaces for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 광 수송망의 정의
- G.872 (Architecture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 광 수송망의 계층 구분
2. 광 수송 계층의 구조
※ 개별적인 각각의 광 채널 신호들을, 원활하게 운반,수송하도록, 계층형으로 구성
3. 광 수송 계층의 구분
ㅇ OCh (Optical Channel Layer, 광 채널 계층)
- 양끝 단대단 네트워킹(경로 망 구성)의 관점을 주는 계층
. 광 네트워크에서 2개의 접속점 간의 점대점 연결(광 채널 트레일)을 제공
. 여기서, 광 채널 또는 광 채널 트레일(trail)은,
.. 양끝단 2개의 접속점 간을, 유연하게 점대점으로 연결 구성시킬 수 있는, 광 경로를 말함
- 주요 기능
. 어떤 형태의 페이로드 (SDH/SONET,PDH,ATM,IP 등) 도,
.. 투명하게 전달하는 논리적 채널 제공
. 광 경로 단위로 종단간 라우팅 수행
- SDH/SONET에서의 경로계층과 기능적으로 유사
ㅇ OMS (Optical Multiplex Section Layer, 광 다중화 구간 계층)
- 다중 파장으로 광 채널 신호들을 네트워킹시키는 기능을 하는 계층
. 개개의 광 채널을 파장 단위와 연결시켜 줌
- 주요 기능
. WDM 광 링크들의 파장별 다중화,보호 및 복구,분기결합,교차연결,교환 기능 등
. 다중 파장 광 신호의 네트워킹 기능을 제공
- SDH/SONET에서의 다중화기구간계층과 기능 유사
ㅇ OTS (Optical Transmission Section Layer, 광 전송 구간 계층)
- 여러 다양한 형태의 광 매체 상에서 광 신호의 증폭,전송을 담당
- 주요 기능 : 물리 광 신호의 증폭,전송
- SDH/SONET에서의 재생기구간계층과 기능 유사
※ 한편, Physical Media Layer 은,
- 위 3개 계층 신호들을 실제로 운반하는 물리 계층을 말함
2. 비동기식 다중화 (PDH) 및 동기식 다중화 (SDH) 계위 비교
3. 비동기식 다중화 계위 (PDH) = PCM 방식
※ 북미방식 PCM 다중화 계위 例
4. 동기식 다중화 계위 (OC, SONET, SDH)
1. SONET
ㅇ 광 전송용 동기식 다중화 방식에 의한 디지털신호계위의 북미 표준
- 미국의 벨 통신 연구소(Bellcore, Bell communications research)에서 1984년 제안하여,
. 당시, 표준화된 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RBOC 간의 상호 연결 필요성에서 탄생
- T1 committee(T1 위원회)가 북미 표준으로 채택, 발전시킴
2. SONET 및 SDH의 `표준의 비교`
ㅇ SONET은, 미국 ANSI와 ECSA(Exchange Carriers Standards Association)의 지원하에 표준 개발
ㅇ SDH는, ITU-T에 의해 SONET을 근간으로 하여 국제 SDH 표준으로 개발
- ITU-T에서는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라고 부르며,
- 북미표준 SONET과는 프레임 구조 및 용어상에서 약간의 차이가 존재
3. SONET `Layering(계층화)`
ㅇ Path Layer (경로 계층)
ㅇ Line Layer (라인 계층)
ㅇ Section Layer (구간 계층)
ㅇ Photonic Layer (광 계층/물리 계층)
4. SONET `기본 전송 단위` : STS-1
ㅇ STS-1 : 9행 x 90열 (810 바이트)의 2차원 논리적 배열 구조를 갖는 정방형 프레임
- 오버헤드 : 전체 810 바이트 중 36 바이트는 올바른 전송을 위한 제어정보
. 9행 x 3열 = 27 바이트 : Section Overhead 및 Line Overhead
. 9행 x 1열 = 9 바이트 : Path Overhead
- 페이로드 : 9행 x 86열 = 774 바이트
5. SONET `기본 전송 속도` : STS-1
ㅇ 프레임 반복 주기 : 125 ㎲ 간격 (초당 8000번, 8 kHz)
ㅇ 전송속도 : 51.84 Mbps (8000 초-1 x 810 바이트 x 8 비트)
5. 광채널단위 다중화 계위 (OTH)
[정보통신기사] 가용성, 신뢰성 - MTBF, MTTR, MTTF 차이 및 기출문제
[정보통신기사] 가용성, 신뢰성 - MTBF, MTTR, MTTF 차이 및 기출문제
■ MTTR (Mean Time To Repair)기계설비가 고장을 일으켜, 고장을 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고장 수리시간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을 해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 ■ MTTF (Mean Time To Failure)기계설비
infoofit.tistory.com
[정보통신기사] 디지털 전송 - 회선 부호화, NRZ 부호화, 맨체스터 부호화, 블록 부호화, PCM, 표본화, 계수화, 병렬 전송, 동기식 전송, 비동기식 전송
[정보통신기사] 디지털 전송 - 회선 부호화, NRZ 부호화, 맨체스터 부호화, 블록 부호화, PCM, 표본
A. 디지털 정보 -> 디지털 변환Digital-to-Digital Encoding, 디지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회선 부호화 (Line Coding) :항상 필요!!블록 부호화 (Block Coding)뒤섞기 (Scrambling) 1. 회선 부호화 (Line C
infoofi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