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formation]/[용어&개념] 34

[용어/개념] TCP/UDP Port 정리

포트(Port)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에서 포트(port)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다른 장치들(프린터, 마우스 등)을 연결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주로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라 하며, 예를 들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 있다. 각 포트는 번호로 구별되며 이 번호를 포트 번호라고 한다. 포트 번호는 IP 주소와 함께 쓰여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된다.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는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용어/개념] HTTP 상태 코드/에러 코드 100~500 정리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TCP/I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합니다. 즉, 우리가 웹을 이용하려면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는 각각 TCP/IP 동작에 필수적인 IP 주소를 가져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HTTP란 이름대로라면 하이퍼텍스트(Hypertext)만 전송할 수 있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HTML이나 XML과 같은 하이퍼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 동영상, Javascript, PDF와 각종 문서 파일 등 컴퓨터에서 다룰 수 있는 데이터라면 무엇이든 전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https://www.naver.com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웹 클..

[용어/개념] 화이트리스트(Whitelist) vs 블랙리스트(Blacklist) 비교

IT보안에서 화이트리스트와 블랙리스트는 시스템에 접근해도 되는 사용자와 접근하면 안 되는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록입니다. 조직은 보안을 위해 액세스 제한 방식으로 화이트리스와 블랙리스트를 사용하빈다 허용/거부는 반드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만은 아니며, 제한 대상은 특정 IP를 가진 PC가 될 수도 있지만, 실행 파일, 프로세스, 웹 사이트 등이 되기도 합니다.1. 화이트리스트(Whitelist) 화이트리스트는 액세스 허용 목록입니다.기본적으로 모든 접근을 막아놓고 접근 허용 대상만 따로 등록하는 방식입니다.조직 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실행 파일, 응용 프로그램, 웹 사이트만 실행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식입니다.장점- 좀 더 엄격한 보안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모든 걸 막아놓고 허..

[용어/개념] Stateful vs Stateless 비교

Stateful- 요청 정보를 저장하여 응답하는 트래픽 제어를 하지 않는다Stateless- 요청 정보를 따로 저장하지 않아 응답하는 트래픽도 제어를 해줘야 한다. 방화벽에서의 stateful- 일반적인 라우터 기반의 방화벽은 tcp 패킷의 syn 또는 syn-ack로서 처리를 하는데 방화벽 내부에 위치한 네트워크로 들어오는 패킷을 차단하려면 라우터의 프로세서가 패킷의 tcp 헤더를 열어서 tcp 헤더 정보가 syn인것은 차단 / syn-ack는 통과하므로 상당한 부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방화벽에서는 stateful 필터링을 사용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로 접속하는 접속정보(syn)를 기록하고 외부에서 내부로의 응답(syn-ack)이 오게 되면 방화벽의 프로세서는 응답을 기록된 정보(syn)와 비교해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