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내부정보 유출방지를 위한 자가수준진단 및 준수사항1. 정보유출사고 현실부동의 1위 악성코드 유형은 금융정보 유출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표한 '월간 악성코드 은닉사이트 탐지 동향 보고서 5월에 따르면' 악성코드 유형으로는 정보유출 (금융정보)이 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된 SW 취약점은 Java Applet 취약점이 38%의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MS OLE 취약점 취약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사이버 보안위협의 진화해커의 능력 과시형을 넘어 금전적 목적의 해킹 그리고 국가 차원의 위협이 되는 해킹으로 변화 2-1. 최근 침해사고 특징지능형 지속공격(APT)으로 기업대상 침해사고 발생DDoS 공격은 과거부터 지..